우리말 속담 얼마나 알까? 자가진단기
속담을 얼마나 많이 알고있나 확인하고싶을 때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속담에 관심이 많은 남녀노소가 재미있게 속담을 외울 수 있도록 자가진단 기능을 만들어봤습니다. 뜻을 읽고 어떤 속담을 말하는 것인지 추측해보세요. 회색 부분을 클릭하면 속담문장이 나타나므로 본인이 생각한 답안이 맞는지 비교해가며 본인이 얼마나 많은 속담을 정확히 알고있는지 자가진단이 가능합니다.
우리말 속담 얼마나 알까? 자가진단기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미리 손을 쓰지 않다가 손해를 본 뒤에야 손을 쓰거나, 이미 일을 그르친 뒤에 때늦게 손을 써도 소용이 없다는 뜻이니 평소에 대비를 잘 하라는 말.
죽쑤어 개 좋은 일 하였다
힘들여서 한 일을 남에게 뺏기거나 남을 이롭게 했을 때 쓰는 말.
가는 방망이, 오는 홍두깨
도리어 큰 화를 당함
싸움은 말리고 흥정은 붙이랬다
나쁜 일은 못하게 말리고, 좋은 일은 성사되도록 옆에서 부추겨야 한다는 뜻.
입술에 침이나 바르지
얼굴 표정 하나 바꾸지 않고 천연덕스럽게 거짓말을 하는 것을 뜻함.
누워 떡 먹기
일을 아주 손쉽게 할 수 있을 때 쓰는 말.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
아무리 흔한 물건이라도 막상 쓸 데가 있어 찾으면 구하기 힘들다는 말.
고생 끝에 낙이 온다
괴롭고 어려운 일 뒤엔 즐겁고 좋은 일이 있다는 뜻.
열 손가락을 깨물어서 안 아픈 손가락 없다
아무리 많은 자식이라도 부모에게는 다 같이 소중하고 귀엽다는 뜻.
혼자서 북 치고 장구 친다
모든 일을 혼자 알아서 다 한다는 말.
거지 발싸개 같다
아주 더럽고 지저분한 것의 비유.
구멍은 깎을수록 더 커진다
허물은 얼버무릴수록 더 드러남.
품 안에 있어야 자식이라
부모만 따르던 어린 자식이 클수록 부모로부터 멀어짐을 느낄 때 쓰는 말.
뱁새가 황새 걸음을 걸으면 가랑이가 찢어진다
제 힘에 겨운 일을 남이 한다고 해서 억지로 따라 하면 큰 화를 당하게 되니, 자기 분수를 알라는 뜻.
나중 보자는 사람 무섭지 않다
어떤 일에 대해 나중에 어떻게 하겠다고 미리 말하는 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는 말.
호박이 넝쿨째로 굴러 떨어졌다
뜻밖에 좋은 일이 한꺼번에 생겼다는 말.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너무 잘 알고 틀림이 없는 일이라도 조심을 해야 한다는 뜻.
칼로 물 베기
두 사람이 서로 다투다가도 시간이 조금 흐르면 이내 풀려 사이가 다시 좋아진다는 뜻.
#취준생 #취업준비 #속담 #우리말 #우리말속담 #일반상식 #속담1급 #속담2급